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트럼프 관세 정책과 수혜주를 알아보자

by 도대디24 2025. 2. 1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1월 20일 취임사에서 새로운 관세 정책을 공식화하며, 외국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선언했습니다. 이를 전담할 새로운 정부 조직인 '대외수입청(External Revenue Service, ERS)'의 창설도 발표했습니다.

 

1. 새로운 관세 정책의 주요 내용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또한,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관세에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미국의 무역 시스템을 재검토하고, 외국 제품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며, 국내 산업을 보호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입니다.

 

2. 동맹국과의 갈등 및 국제적 반응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캐나다와 멕시코 등 전통적인 동맹국들과의 갈등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보복 관세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관세 정책은 세계 무역 질서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3. 경제적 영향과 전망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 물가가 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또한, 무역 파트너들의 보복 관세로 인해 미국 수출 산업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1. 미국 제조업 관련 기업

대표 기업: 캐터필러(Caterpillar, CAT), 3M(MMM), 존 디어(John Deere, DE)

  • 높은 관세는 수입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키면서 미국 내 제조업체들의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 트럼프 정부는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커, 인프라 및 건설 장비 제조업체들이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2. 철강 및 알루미늄 기업

대표 기업: 뉴코(Nucor, NUE), US 스틸(United States Steel, X), 알코아(Alcoa, AA)

  •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추가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내 철강·알루미늄 생산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됩니다.
  • 이전 트럼프 정부에서도 철강 관세(232조)를 적용하면서 미국 철강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한 사례가 있습니다.

3. 미국 내 소비재 및 의류 기업

대표 기업: VF코퍼레이션(VFC), 한에스브랜드(HBI), 랄프 로렌(RL)

  • 중국, 멕시코 등에서 수입되는 저가 의류·소비재 제품에 대한 관세가 오르면, 미국 내 제조·유통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큽니다.
  • 미국에서 생산하는 브랜드가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4. 국산 반도체·IT 장비 기업

대표 기업: 브로드컴(AVGO), 퀄컴(QCOM),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XN)

  • 중국에서 수입되는 IT 및 반도체 부품에 대한 관세가 오르면, 미국 내 반도체 및 IT 장비 생산업체들이 더 큰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미국 정부의 기술 보호 정책과 맞물려 미국 기업들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5. 방산 관련 기업

대표 기업: 록히드마틴(LMT), 노스롭 그러먼(NOC), 레이시온(RTN)

  • 트럼프 정부는 미국 중심의 경제·안보 정책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국방 예산 증가와 방위산업 지원 정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 동맹국들과의 긴장이 고조될 경우, 미국 방산업체들이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강화될수록 미국 내 생산 기업들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므로, 이와 관련된 기업들의 실적과 정책 동향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